회원 로그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집자추천도서

주의 은혜로 다시 일어서는 과정

이종수 | 2006.04.03 12:08
주의 은혜로 다시 일어서는 과정 거룩한 삶의 신학 시리즈 1 - 자기 깨어짐/김남준/생명의말씀사

열린교회 앞뜰에 단풍이 곱게 물들던 가을날이었습니다.
마당에 홀로 앉아 성경을 묵상하고 있을 때, 예고 없이 후배 목회자가 찾아왔습니다. 그는 저에게 물었습니다. “생명력 있는 목회의 비결이 무엇입니까?” 저는 짤막하게 대답하였습니다. “죽음.” 이해할 수 없다는 듯 그는 맑은 눈망울로 저를 바라보았고, 저는 다시 그에게 말했습니다. “목회자의 자기 죽음입니다.” 목회가 즐겁고 행복하다는 선배 목사님들의 고백 앞에 서면, 저는 늘 한없이 작고 초라해집니다.
영혼을 돌보는 섬김에 어찌 은밀한 기쁨이 없겠습니까? 그렇지만 목회는 제게 아직도 당하기 원치 않는 가슴앓이고, 설교는 영원한 이국의 언어입니다. 17세기 영국의 경건하고 박학한 청교도 존 오웬(John Owen) 목사님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목회자를 세우신 경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목회자를 세우신 것은 성도들이 그를 통하여 참으로 신자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볼 수 있게 하시기 위함이다.”

목회자인 저에게 몇 천 명의 교인을 목회하는 일보다 더 힘든 일은 한 사람을 목회하는 일입니다. 그 한 삶은 여러분 중 가장 완고한 교인보다 더욱 고집스럽고 악합니다. 아직도 저의 목양의 손길에 들어오지 않는 한 사람은 바로 제 자신입니다.
어느 날 주님의 음성이 제 마음에 들렸습니다. “얘야, 네 몸에 나 예수의 흔적이 있니?” 처음에는 작은 소리를 내며 흐르는 개울물 같던 그 음성은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계곡을 휘돌아 흐르다 떨어지는 폭포수처럼 들려왔습니다. 그래서 불꺼진 교회당 한 구석에서 울고 또 울었습니다. 길을 걸어갈 때에도, 찬물에 말은 아침밥을 뜰 때에도, 깊은 밤 홀로 들판을 산책할 때에도, 서재에서 책을 읽을 때에도 그 음성이 생각이 나서 울고 또 울었습니다. 그렇게 아픈 여러 달을 지나면서 제게는 소박한 소원이 하나 생겨났습니다. 제가 언제 이 고단한 목회 사역의 날개를 접게 되든지 그 날이 살아온 날들 중에는 가장 많이 주님을 닮은 날이 되고, 앞으로 살아 있을 날에 대하여는 그 날이 가장 주님을 덜 닮은 날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 여러분들 앞에 펼쳐 보여드리는 이 교리들은 제가 그러한 고통의 시기들을 지나면서 깨달은 성경의 진리들입니다. 때로는 저의 죄악과 무지로 넘어지고, 주의 은혜로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통하여 깨달은 것들입니다(그러나 저는 아직도 불결하기 짝이 없는 죄인일 뿐입니다). 부디 이것들이 순례자의 길을 가는 독자들에게 길동무가 되기를 바랍니다.

2006년 1월 21일 오후 열린교회 교육관 서재에서
그리스도의 노예 김남준


목차

제 1 부   신자와 자기 사랑

제1장  자기 깨어짐   |  21

I. 자기 깨어짐이란 무엇인가   |  23
A. 자기 깨어짐의 정의   |  24
B. 자기 깨어짐과 회개   |  25
C. 자기 사랑과 정욕   |  26

II.  이 교리를 세우는 유익   |  27


제2장  죄에 대한 사랑   |  33

I.신자 안에 있는 옛 본성   |  35

II.죄의 뿌리인 자기 사랑   |  37

III.죄가 사랑으로 뿌리 내리는 방식   |  39
A. 영혼 안에서 : 하나님을 대적하는 경향성으로   |  40
1. 지성을 속임으로써   |  41
a. 부주의하게 함   |  42
b. 헛된 것에 몰두하게 함   |  43
c. 이성의 추론을 방해함   |  44

2. 영혼의 전일성을 파괴함으로써   |  46
3. 영혼을 강압함으로써   |  47

B. 마음 안에서 : 육체의 욕심, 정욕, 이기심으로   |  48
1. 정욕을 불러일으킴으로써   |  49
2. 죄의 즐거움을 줌으로써   |  50
a. 소극적으로 : 상상을 불러일으킴으로써   |  50
b. 적극적으로 : 죄를 실행함으로써   |  51

3. 마음의 틀을 바꿈으로써   |  53
a. 마음의 틀   |  53
b. 마음의 틀에 대한 이중의 공격   |   54
1) 미덕스러운 틀을 파괴함   |  55
2) 악덕스러운 틀을 구축함   |  56
        
C. 삶 속에서 : 하나님의 계명을 거스르는 불순종으로   |  58
1. 개별적인 죄의 실행   |  58
a. 개별적인 정욕이 죄로 실행되는 방식   |  58
1) 신자의 내적 취향에 의함   |  59
2) 산출되기에 적합한 환경을 만남   |  60
a) 양심의 제약을 덜 받는 상황   |  60
① 도덕적으로 너그러운 환경   |  61
② 양심의 작용이 저해받는 환경   |  62
b) 죄의 실행에 불편함이 제거됨   |  62
c) 처벌받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   |  64

3) 죄를 산출하는 즐거움에 대한 기대가 극대화됨   |  65
b. 개별적인 죄의 실행과 그 영향   |  65

2. 죄의 반복   |  66
a. 산출된 죄의 목표   |  66
1) 부당한 거역의 반복   |  67
2) 죄의 산출을 용이하게 함   |  68
b. 산출된 죄를 반복하게 하는 방식   |  69
1) 정욕에 대한 억제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  70
a) 양심의 기능을 파괴함   |  70
b) 선한 의지를 부패하게 함   |  71
2) 원천적인 정욕을 강화함으로써   |  72
3) 일반섭리 안에서 죄스러운 환경 안에 갇힘으로써   |  73

IV. 죄를 버리지 못하는 이유 : 기쁨, 집착, 두려움   |  75
A. 죄가 주는 기쁨 때문에   |  75
1. 죄의 결과가 드러남으로써   |  76
2. 죄의 결과가 숨겨짐으로써   |  77
B. 죄에 대한 집착 때문에   |  78
C. 혼자 있을 두려움 때문에   |  79
D. 정죄받을 두려움 때문에   |  80
제3장  자기의   |  85

I.자기 깨어짐에서 말하는 자기의   |  87
A. 자기를 의롭다고 믿는 정신   |  88
1. 죄를 가볍게 여김   |  89
2. 자신을 정당화함   |  89
B. 소극적 의미와 적극적 의미   |   90
1. 소극적 자기의   |  90
2. 적극적 자기의   |  91

II.율법적 의와 복음적 의   |  92
A. 율법적 의   |  92
B. 복음적 의   |  95

II.자기의의 악덕스러움   |  95
A. 하나님께 대한 절대 의존을 떠난 의   |  96
B. 하나님 사랑에 종속되지 않은 의   |   98
1. 결함을 가진 의   |  98
2. 창조 목적에 기여하지 못하는 의   |  98
3. 인격적 사랑이 아님   |  99
C. 하나님께 대한 순종이 결핍된 의   |  100
D. 하나님의 생명으로부터 떠난 의   |  101

IV. 자기의와 거룩한 삶에 대한 지성적 혼란   |  102
A. 그리스도와 거룩한 생활의 관계에 대한 무지   |  103
B. 의로운 삶의 무용론-율법폐기론적 태도   |  105

V. 구원의 열매인 의로운 생활   |  107

제 2 부 자기 깨어짐의 과정

제4장  성령의 조명   |  117

I.성령의 조명   |  120
A. 본성의 빛으로 파악할 수 없는 죄   |  120
B. 영혼의 이중적 어두움   |  123
1. 객관적 어두움   |  124
2. 주관적 어두움   |  126

II.조명과 영광의 빛   |  127
A. 중생 후에도 계속되는 조명의 작용   |  128
B. 조명과 영광의 빛   |  131
1. 영광의 빛과 복음   |  132
a. 영광의 의미   |  132
b. 복음의 영광   |  133
c. 지성을 압도하는 빛   |  135
2. 영광의 빛, 신적 지식   |  135
a. 신적 임재의 효과   |  136
b. 참회하게 함   |  137
c. 성장하게 함   |  137


III.하나님 앞에서의 삶을 위한 지식   |  138

IV. 조명과 인간의 책임   |  140
A. 지성과 영혼의 관계   |  140
B. 조명과 인간의 책임   |  141
1. 조명된 지식의 파지(把持)   |  142
2. 조명된 이성의 추론(推論)   |  142

제5장  죄의 확신   |  147

I.조명과 확신   |  149
A. 조명과 관련하여 고려할 점   |  150
1. 조명을 통한 인식과 확신   |  150
2. 이성의 추론과 확신   |  151
3. 확신케 하시는 성령   |  152
B. 도덕적 책임의 인식   |  153
1. 하나님 앞에서의 확신   |  154
2. 절대선의 존재 증거   |  155
3. 악덕스러움의 확신   |  156

II.확신하는 내용들   |  157
A. 죄의 존재   |  157
B. 개별적인 실행죄   |  158
C. 죄의 원천   |  158
D. 하나님의 심판   |  159

III. 죄를 확신함에 있어서 인간의 책임   |  160
A. 성령-인간의 협력 사역   |  160
B. 인간의 책임   |  161
1. 정직할 것   |  161
a. 최초의 빛에 대하여   |  162
b. 이성적 추론에 대하여   |  163
2. 관심을 회피하지 말 것   |  164
3. 믿음을 가질 것   |  165

제6장  자기 부인   |  169

I.죄의 확신과 자기 비판   |  171

II.자기 부인의 성격   |  173
A. 전망적 사실의 현재화   |  173
B. 거부하는 의지의 작용   |  174
1. 자기 부인의 의지적 성격   |  174
2. 의지가 거부하는 내용   |  175
a. 환경의 거부   |  175
b. 속박의 거부   |  176
c. 독립의 거부   |  178
1) 소극적 측면 : 자기 불신   |  178
2) 적극적 측면 : 하나님께 대한 의존   |  178
C. 자유에 대한 갈망   |  181

III. 자기 사랑의 허무함   |  182
A. 하나님께 대하여   |  183
B. 창조세계와 다른 사람들에 대하여   |  183
C. 자신에 대하여   |  184
1. 삶의 허무   |  185
2. 영혼의 고통   |  185        
a. 현세에서   |  186
b. 내세에서   |  187

IV. 자기 부인의 두 측면   |  187
A. 소극적 측면 : 이성의 추론과 욕망의 거부   |  188
1. 부패한 이성의 추론을 거부함   |  188
2. 부패한 육신의 요구를 거부함   |  190
a. 욕망이 죄의 실행으로 발전하는 경로   |  190
b. 근원인 욕망을 죽임   |  191
B. 적극적 측면 : 자기 사랑을 비움   |  192

제7장  자기 심판과 자기 처벌   |  197

I.성령의 조명과 양심   |  200

II.자기 심판   |  201                
A. 자기에 대한 유죄선고   |  202
B. 양심과 자기 심판   |  203
1. 양심의 기능   |  203
a. 실행된 죄에 대하여   |   205
b. 마음 안에 있는 죄에 대하여   |  206

III. 자기 처벌   |  208
A. 고통의 선취적 경험   |  208
1. 양심의 가책이 주는 고통   |  209
2. 하나님의 마음을 느끼는 고통   |  211

B. 자기 처벌의 고통을 경험하는 방식   |  212
1. 죄를 올바로 인식하는 고통   |  212
2. 섭리 속에서 주어질 징계를 인식하는 고통   |  214
3. 심판의 고통을 경험함   |  215
a. 회고적 경험   |  215
b. 전망적 경험   |  216


제8장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다시 삶   |  221

I.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다시 삶   |  223
A. 옛 사람의 죽음을 경험함   |  223
B. 새 사람의 살아남을 경험함   |  225
C. 창조의 목적으로 돌아감   |  228

II.철학적 사유를 통한 현자의 삶   |  230

제9장  그리스도를 따름   |  237

I.그리스도를 따름   |  239
A. 부주의함을 고침   |  240
B. 그리스도를 의지함   |  242
1. 자기를 의지하던 태도를 버림   |  242
2.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의지함   |  243
C. 순종으로 그리스도를 알아감   |  244
1. 총체적인 삶에 있어 순종함   |  244
2. 순종을 통하여 지식에서 자라감   |  245
D. 하나님을 더욱 섬기고자 함   |  248


II.깨어짐의 고통을 감당하게 하는 것들   |  249
A.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   |  251
B. 하나님을 향한 사랑   |  252
1. 하나님 사랑의 가치를 깨달음   |  253
2. 회복되는 세 감각   |  253
C. 의지의 올곧음   |  255
1. 선한 의지의 지속이 필요함   |  256
2. 올곧음은 신자의 책임임   |  257
3. 성경이 풍부한 증거를 보여줌   |  258
4. 의지의 올곧음의 작용은 은혜 안에 있음   |  259


III. 자기 깨어짐이 없는 섬김   |  260
A. 헌신과 자기 깨어짐   |  260
B. 왜 참된 헌신이 없는가   |  262


부록 1.   참고 문헌   |  270
부록 2.   성구 색인   |  278
부록 3.   주제별 색인-본문   |  281
부록 4.   주제별 색인-각주   |  285

저자   김남준

조국교회의 참된 부흥과 그리스도인의 영적 각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설교와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김남준 목사는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 신학 석사 학위를 받고 신학박사 과정을 공부했으며 안양대학 신학부와 천안대학교 신학부에서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지냈다. 성경의 원리에 충실하면서 시류와의 영합을 거절하는청교도적인 설교로 널리 알려진 김남준 목사는 현재 서울 방배동에 있는 "열린교회"를 개척하여 담임하고 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326개(9/17페이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새신자반(100쇄 기념 한정판)
이재철/홍성사


이재철 목사의 <새신자반>을 본문 및 표지 디자인과 제본 방식을 새롭게 하고 '새신자반 강의안'을 수록해 한정판으로 제작했다. 1994년 12월 초판이 발행된 이후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신앙 훈련서로 많은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아 온 <새신자반>은 2008년 8월 개정판이 나오기까지 초판 59쇄를 찍었으며 이후 개정판 41쇄를 더했다.   이번 100쇄 기념 한정판에는 이어령 교수의 축사, 이해인 수녀의 축시, 이재철 목사의 감사의 글을 담았다. 각 장 끝에는 '새신자반 강의안'을 수록해 ...
청교도에 대한 소중한 자료 청교도에 대한 소중한 자료
청교도 유산
서요한/그리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 성령 강림 이 후 지금까지 2,000년 기독교 역사는 격랑 속에 실로 파란만장하였다. 처음 유대 땅 갈릴리, 나사렛 작은 마을에서 시작된 기독교는 당시 로마 제국은 물론 크고 작은 공동체와 교회 밖 그룹들의 끝모를 질시와 박해 속에 산 넘고 바다 건너 예루살렘과 유대와 사마리아 이 후 전 세계, 땅 끝까지 급속히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주님의 교회는 말할 수 없는 대가를 지불했으나, 이는 단순히 현실 극복과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기 보다는 장차 받게 될 영광스러운 축복과 보상으로, 모든 것들은 크고 은...
나는 왜 관계에 약할까 나는 왜 관계에 약할까
관계의 걸림돌 극복하기
이관직/두란노


이관직 교수가 관계를 가로막는 걸림돌을 이해하고 치유와 변화의 걸음을 내딛도록 안내한다. 이 책은 미성숙한 성격이 대인관계의 큰 걸림돌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나만 잘났어'라고 생각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자는 교만한 눈이 걸림돌이며 이기적인 대인관계를 맺는다. 또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다'고 여기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칭찬을 소화하지 못하고 관계에서 오는 불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   예수님을 믿고 성령이 함께하시는데 대인관계는 왜 여전히 힘들까? 관계를 통해 힘을 얻고 싶은데 오히려 힘을 빼앗기고, ...
무엇이 보이는가? 무엇이 보이는가?
존 파이퍼의 성경과 하나님의 영광
존 파이퍼/윤종석/두란노/강도헌운영자


개신교회의 정체성은 ‘성경’에 대한 태도에 달려 있다. 종교개혁의 정당성이 바로 로마가톨릭교회가 성경에 권위를 두지 않고 교회와 교회정치에 권위를 더 둠으로 성경에서 멀어진 것에 대해 성경 중심으로 돌아가자는 것에 있었다. ‘오직 성경’은 개신교회의 핵심 정체성이다. 그러므로 개신교회는 ‘성경’을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고, 교회는 끊임없이 ‘성경’을 읽고, 묵상하고, 가까이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개신교회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는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라고 주장한다. 즉, 하나님은 성경을 통해 자기 ...
별을 던지는 사람 별을 던지는 사람
역설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파커 파머/김명희/아바서원/강도헌 운영자


별을 던지는 사람   삶에 정답이 있을까? 이런 질문이 가끔 떠오를 때가 있다. ‘정답이 있다? 없다?’라는 질문이 인식과 분별의 한계를 가진 불완전한 인간으로서 언급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종종 ‘정답이 없는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기’라는 언급을 했다. 정말 진지한 그리스도인으로 살려고 할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의 범위 안에서는 완전한 정답을 찾을 수 없다는 생각이 점점 더 커진다. 그리고 우리의 삶에는 정답이 아니라 신비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발견...
근본주의가 남겨준 유산 근본주의가 남겨준 유산
톱밥향기
리처드 마우/김동규, 김행민/SFC


 칼빈주의자 리처드 마우, 보수신앙의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진가를 논하다   개신교 ‘보수신앙’은 개신교 전통의 ‘근본적인 것들’, 곧 십자가 복음과 성경의 권위 등을 무엇보다 가장 소중한 것으로 믿는 신앙이다. 신앙의 전통을 고수하기 때문에 보수신앙에는 지금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 듯한 요소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서구에서는 기독교사회가 이성과 합리를 중시하는 근대의 세속화를 겪으며 큰 위기를 겪었고, 지금도 보수신앙은 우리나라에서나 서구에서나 끊임없이 시대와 사회와 불화하며 자기 자리를 찾기 위해 고심하고...
과유불급 과유불급
이단을 보는 눈
배본철/영성네트워크/강도헌 운영자


목사님 어떤게 이단 이예요?   성도들에게 가끔 질문을 받는다. ‘저건 왜 이단이예요?’ 그럴 때마다 솔직히 좀 난감하거나 곤란할 때가 많다. 그럴 때마다 필자는 솔직하게 ‘잘 모르겠다’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분명히 잘못된 교리들을 가르치는 집단들은 명백하게 이단이라고 설명할 수 있지만, 필자의 정보가 부족하다거나 실제로 모호한 경우에 어슬프게 추측성 발언을 한다는 것은 엉뚱한 이들에게 누명을 씌우는 죄를 범하기 때문에 그렇다.   일반적으로 이단 문제를 판명하기 위해서 사용한 잣대는 먼저 교리...
뇌 속에 담긴 비밀 뇌 속에 담긴 비밀
뇌, 하나님 설계의 비밀
티머시 R. 제닝스/윤종석/CUP/강도헌 운영자


뇌 속에 담겨 있는 비밀     뇌의 발육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다. 스트레스가 유난히 높으면 몸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불행히도 임신중에 그런 일이 벌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태반으로 들어가 태아의 뇌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발육중인 뇌의 편도체에 ‘제동 장치’가 부실해진다.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아이의 뇌는 스스로 진정하고 정보회로를 끄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이런 아이들은 삶을 시작할 때부터 이미 불안과 두려움이 일반 아이들보다 높다.   ...
돌봄 목회를 위한 위기 상담 돌봄 목회를 위한 위기 상담
기독교 위기 상담
스캇 플로이드/황영아/그리심/강도헌 운영자


돌봄 목회    가끔 서점을 가면 ‘돌봄 목회’라는 제목의 책들이 보인다. ‘돌봄 목회’에 관련된 책 모두를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필자가 읽어 본 바에 의하면, ‘돌봄 목회’는 교회의 외적 확장보다는 성도들의 아픔과 고통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돌보는 목회를 의미하는 듯하다. 목회 철학적 개념에서 ‘돌봄 목회’는 매우 매력 있어 보인다. 성도들의 아픔을 치유해주고, 그들을 돌보는 것은 목회자와 성도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은   돌봄 목회에 대해 필자는 ...
최초의 영성신학 정립 최초의 영성신학 정립
폰투스의 에바그리오스의 실천학
폰투스의 에바그리오스/남성현/새물결플러스


    폰투스의 에바그리오스 <실천학>은 영성신학의 알파와 오메가라 할 수 있다. 서양 정신문화의 토대와 발전과정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교회에 적실한 영성신학을 세워가기 위해서는 우선 그의 <실천학>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그의 가르침을 삶의 다양한 현장에 비판적으로 적용하려는 의지와 수고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서는 기독교 역사를 빛낸 위대한 학자와 경건한 사상가들이 남긴 고전을 원문대조판으로 번역, 소개하는 <그리스도교문...
올바른 성경 해석을 위한 길잡이 올바른 성경 해석을 위한 길잡이
성경과 편견
랜돌프 리처즈, 브랜든 오브라이언/홍병룡/성서유니온선교회


랜돌프 리처즈와 브랜든 오브라이언은 왜 서구의 성경 독자들이 자주 문화적인 측면에서 성경을 오해하는지 설명한다. 서구 독자들은 아홉 개의 핵심 영역에서 자신들의 ‘가정’(假定)을 가지고 성경을 읽는데, 이 가정이 실제 성경 속에서 일어나는 일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랜돌프와 브랜든은 자신들의 선교 경험을 바탕으로 언어와 시간과 사회적 풍습에 나타나는 문화적 다양성을 설명하면서, 우리가 이 사실을 깊이 숙지하고 성경을 읽을 때만 신선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성경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 랜돌...
간만에 등장하는 참신한  성경공부 간만에 등장하는 참신한 성경공부
기독교 탐사 리더 핸드북
리코 타이스, 베리 쿠퍼/CEMI 번역팀/IVP


"지금까지 당신이 들어 본 가장 좋은 소식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복음을 소개하고, 어떻게 예수님을 알릴 것인가? 성경적이고 복음 중심적인 전도 방법을 찾는 모든 이를 위한 복음 전도 성경 공부 교재!   3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50여 개 나라에서 복음 전도 및 제자 훈련에 적극 활용되는 효과적인 성경 공부!   “CE 기독교 탐사는 일반적으로 쉽게 간과되는 진리들, 즉 죄의 엄중함, 십자가의 중심성, 은혜의 충분성, 회개의 필수성을 제대로 강조하는 탁월한 성경 연구 교재입니다...
창조, 정복, 유배, 그리고 귀환 창조, 정복, 유배, 그리고 귀환
구약성경의 정수
트렘퍼 롱맨 3세/최광일/CLC


구약성경의 메시지에 익숙해지고 구약성경이 어떤 식으로 예수님을 지향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삶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 성경공부 교재이다. 구약성경에서 발췌한 17가지 본문을 4자기 항목을 통해 연구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편집했다.   각 본문을 먼저 읽고 내용을 파악하며 그 의미들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질문을 실은 '성경 공부 가이드', 각 본문의 중요한 문제를 다루며 설명해 나간 '읽을거리', 구약성경에서 예수님이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신약성경 내다보기', 그리고 오늘날...
육체의 경이로움과 하나님의 섭리 육체의 경이로움과 하나님의 섭리
그분의 형상을 따라
폴 브랜드, 필립 얀시/최종훈/포이에마


폴 브랜드 박사와 필립 얀시가 <나를 지으신 하나님의 놀라운 손길>에서 인체 구조 속에 하나님의 음성이 어떻게 내장되어 있는지를 추적했다면 <그분의 형상을 따라>에서는 독자들에게 전작의 행보가 멈춘 자리에서부터 다시 한 번 더 깊이, 더 멀리 탐험과 발견을 계속해나가자고 손짓한다.   신비한 인체 설명으로 시작해 몸을 생명체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요소인 피와 숨, 그리고 몸을 통제하는 머리,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몸의 특성인 고통까지 다루면서 성육신과 성찬의 의미,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와 그리스도...
시민, 국가 종교, 자기만의 신을 넘어서 시민, 국가 종교, 자기만의 신을 넘어서
스탠리 하우어워스
마크 코피/한문덕/비아


스탠리 하우어워스에 관한 입문서. 라인홀드 니버 이후 20세기 후반 미국의 대표적인 그리스도교 윤리학자이자 신학자로 꼽히는 그의 사상을 5가지로 나누어 살핀다. 지은이에 따르면 하우어워스는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 평생을 애쓴, 교회를 위한, 교회의 신학자다.   서구 그리스도교계의 몰락을 앞에 두고 그는 세상과 타협하고 조화를 이루는 방식의 시도들을 단호하게 거부하며 현실에 안주하는 시민이 아닌 깨어 있는 그리스도인을, 로마 제국(미국 제국)의 종교가 아닌 낯선 거류민의 종교로서의 그리스도교를, 자기만의 신/신앙이...
지도자의 의무에 대한 귀중한 조언들 지도자의 의무에 대한 귀중한 조언들
목회자는 리더다
존 맥아더 외/이대은/생명의말씀사


셰퍼드 라이브러리 시리즈. 미국 최대 목회자 세미나인 ‘셰퍼드 콘퍼런스’에서 강사 목회자들이 ‘리더십’을 주제로 강연했던 내용을 모았다. 존 맥아더를 비롯하여 존 파이퍼, 앨버트 몰러, 마크 데버, 스티븐 J. 로슨, 리곤 던컨, 톰 페닝턴, 릭 홀랜드, 오스틴 T. 던컨 등 개혁주의 목회자 9인이 시대를 초월해 충성스러운 지도자의 특징, 지도자의 삶에 반드시 있어야 할 정결함과 진실성, 기도의 필요성과 실천 방안, 반대에 부딪히고 고난받을 때의 대응책, 진정으로 겸손한 마음을 지녀야 하는 지도자의 의무에 대해 귀중한 조언을 들려준...
기존의 세계관 책과는 차별되는 책 기존의 세계관 책과는 차별되는 책
나도 모르는, 나의 세계관
제임스 N. 앤더슨/김광남/이레서원/방영민 편집위원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의미하는 세계관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상당한 연구를 해야 이 관점을 소유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세계관은 치열한 학문적인 습득과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얻기보다 우리의 삶과 문화와 생활양식을 통해 이미 우리에게 형성되어져 있다. 그래서 우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렌즈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한다. 그리고 우리는 개인적인 렌즈와 함께 공통적인 렌즈로도 세계를 조망하는 세계관을 발견한다.  필자가 느끼는 바는 그동안 세계관에 대한 책은 상당히 어렵고 따분하게 우리에게 다가온 것 같다. 물...
한국초대교회사의 소중한 자료 한국초대교회사의 소중한 자료
로제타 홀 일기 3
로제타 홀/김현수, 강현희/홍성사


 “나는 한국과 한국인들    그리고 이곳에서의 사역을 진심으로 사랑한다.”    -1891년 10월 27일 일기에서-     로제타 홀이 한국에서 맞이한 둘째 해 기록을 오롯이 담다     한국에서 2대에 걸쳐 77년 동안 의료선교사로 헌신한 홀 선교사 가족 중 가장 먼저 한국에서 선교 사역을 시작한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1865~1951)의 세 번째 육필일기를...
인간 존엄성의 승리 인간 존엄성의 승리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토르 E. 프랑클/이시형/청아출판사


나치의 강제수용소에서 겪은 생사의 엇갈림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잃지 않고 인간 존엄성의 승리를 보여준 프랭클 박사의 자서전적인 체험 수기이다. 그 체험을 바탕으로 프랭클 박사는 자신의 독특한 정신분석 방법인 로고테라피를 이룩한다.   1부 '강제수용소에서의 체험'은 강제수용소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2부 '로고테라피의 기본 개념'은 그의 경험에서 도출할 수 있는 교훈을 요약해서 그가 창시한 기본 개념을 정리한 것이다. 3부 '비극 속에서의 낙관'은 사람들의 관심사를 살펴보고 인간 존재의 모든 비극적인 요소에...
신실하신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 신실하신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
구약으로 읽는 부활신앙
김근주/SFC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의 전임연구원으로 활동 중이신 구약학자 김근주 교수의 책이다. 분량이 두껍지 않지만 내용이 정말 알차다. 기대감을 가지고 읽었지만, 매우 상당히 기대 이상이었다. 전성민 교수의 추천사처럼, 지금껏 부활 혹은 종말에 대해 읽었던 모든 책 중에서 최고의 책이라 생각한다. 교회에서 이미 '여러분은 정말 부활을 믿습니까?' '참된 신앙인이라면 부활을 믿어야 합니다'라는 말들로 성도들을 윽박지르는(?) 설교를 많이 들어왔다. 상당수의 교회에서 보통 부활의 실체가 무엇인지 제대로 정의하지도 않고, 성경에 써있으니 냅다 믿으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