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뉴스

“제네바 목사회”에 관련한 두 책

고경태 | 2019.03.13 12:48

부흥과개혁사는 임종구의 <칼빈과 제네바 목사회>(2015)와 스캇 마네치이 2012년에 출판한 <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신호섭 역, 2019)를 출판했다. 두 권의 책의 주제는 동일하다. 그러나 다름이 있다. 유사 주제가 많은 출판은 독자에게 큰 유익이고 지식의 수준을 말하기도 한다. 

 

임 박사의 저술은 632쪽이고, 스캇 마네치 박사의 저술은 604쪽이다. 임 박사의 저술은 1536년에서 시작해서 1564년까지이고, 마네치 박사의 저술은 1536에서 1609년까지의 저술이다. 임 박사의 저술은 칼빈 제네바 활동에 제한되어 있는데, 더 많은 분량이 있기 때문에 칼빈의 제네바 활동에 대해서는 분량적으로는 훨씬 더 섬세한 연구 저술이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스카 마네치의 저술로 그 제네바 목사회가 1609년까지 유지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그래서 두 권의 저술은 유사한 제목이지만, 그 범위에서 차이가 있어 내용 전개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임 박사는 <제네바 목사회 연구>를 집필하면서 스캇 마네치의 연구물을 보았다. 그러나 그의 전개와 다른 방법과 다른 범위를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임 박사는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의 글을 모아 더 칼빈과 제네바에 관련한 세밀한 작품을 출범시켰다. 그리고 지도교수인 박건택 박사의 칼빈 원전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받았다. 박건택 박사는 칼빈의 프랑스어판을 번역한 공로가 있다. 칼빈은 프랑스 사람이기 때문에 프랑스어로 된 칼빈 사상이 좀 더 칼빈스러울 수 있겠다.

 

칼빈에게 스트라스부르크의 3년은 큰 의미가 있는 기간이었던 같다. 그 과정에 대해서 임 박사는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스캇 마네치는 칼빈 사후의 제네바 목사회의 진행을 소개하고 있다. 두 저술을 하나로 오버랩시킬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임 박사는 제네바 사역의 기원이 되는 칼빈의 생애와 스트라스부르크와의 관계에서부터 칼빈 사후에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까지 연결될 것이다. 그리고 임 박사는 칼빈의 전기를 4중적으로 묘사하면서, 칼빈에 대해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스캇 마네치에게는 칼빈 전기는 생략하고, 칼빈 사후에 전개되는 제네바 목사회에 대한 이해가 풍성하다.

 

임 박사는 제네바 목사회를 연구할 때에 제네바 목사회 회의록’(Registres de la Compagnie des pasteurs de Geneve)과 칼뱅이 남긴 두 성경모임과 신앙교육서의 해석’(Deux congregations et exposition du Catéchisme)으로 진행했다. 스캇 마네치 박사는 칼빈 이후 베자 등과 연속성과 차별성으로 제네바 목사회 유지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임종구의 <칼빈과 제네바 목사회>와 스캇 마네치의 <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는 제네바 목사회를 중심으로 칼빈, 그리고 활동과 역사로 나눌 수 있겠다. 두 권은 한 권의 책이 될 수 있겠는데, 제목은 <칼빈, 제네바 목사회 그리고 활동과 역사>가 될 수 있다. 임 박사의 글은 칼빈과 제네바와 목사회의 상황에 대해서 풍성한 자료를 제공하고, 스카 마네치는 제네바 목사회가 1609년까지 유지되는 70년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제네바 목사회의 기능은 교회 세움을 위함 몸부림의 흔적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한국장로교회에 시찰회, 제직회, 교역자회 등에서 명맥을 유지했는데 친교 기관으로 유지되는 것 같다. 목사의 사상을 검증하고 확장시키는 기능을 가진 목사회가 존재하지 않는다. 성경과 신학을 공부하고 토론하는 목사회가 필요하다.


고경태 운영위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38개(8/22페이지)
북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성경 전체를 아우르는 153편의 설교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5.04.21 15:51
공지 새로운 삶의 문턱을 밟고 나아가기 위한 사유와 성찰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5.04.07 11:28
공지 5대 핵심 사역 통계로 전망하는 미래 목회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5.03.31 11:27
295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6.25 20:28
294 이 시리즈의 서론과 같은 중요한 책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6.16 12:27
293 성경읽기의 혁신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6.11 10:55
292 '문용길 시인의 축복의 노래' 저자 인터뷰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6.09 16:09
291 개혁교회의 교리를 변호하는 최고의 해설서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6.04 21:13
290 김양재 목사의 마태복음 큐티 노트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5.28 11:27
289 문용길 시인의 열세 번째 작품 '축복의 노래'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5.14 11:29
288 주문이 아닙니다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5.05 20:08
287 존 레녹스, 긴급히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입을 열다!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4.26 22:12
286 '16세기 종교개혁 이전 참 교회의 역사'의 저자 권현익 선교사 사진 첨부파일 고경태 2020.04.08 21:49
285 크리스천이여, 적극적으로 문화에 참여하라 사진 첨부파일 조정의 2020.03.30 15:04
284 이용도 목사의 문학작품집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3.16 15:00
283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삶으로의 초대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2.27 13:25
282 진짜는 두렵다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2.03 22:16
281 성경을 사랑한 링컨의 보석처럼 빛나는 365 말씀과 묵상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1.17 13:17
280 삶을 그리는 빈센트 반 고흐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20.01.06 11:13
279 목회철학 or 하나님의 말씀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19.12.30 11:30
278 예수님은 어떻게 소크라테스에게 복음을 전하셨을까? 사진 첨부파일 조정의 2019.12.04 11:07
277 ‘기독 출판 현실과, 독서 운동 미래’ 모색 나서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19.11.26 14:55
276 2019 크리스찬북뉴스 포럼 개최 사진 첨부파일 크리스찬북뉴스 2019.10.14 13: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