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신칼뱅주의 신학에 대한 탁월한 안내서

개혁파 신학 전통에서 신칼뱅주의가 남긴 독특하고 웅장한 신학적 공헌
신칼뱅주의 신학에 대한 탁월한 안내서
많은 사람들이 신칼뱅주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전통을 일종의 문화와 사회 참여 운동으로 여기며 이 운동에서 신학은 부차적인 역할을 할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신칼뱅주의 운동의 창시자인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 모두 탁월한 신학자였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신칼뱅주의의 여러 개념은 신학과 무관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영역 주권’, ‘민주주의’, ‘다원주의’, ‘일반 은총’, ‘기독교 세계관’ 등이 그 예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개념은 기본적으로 그 전통의 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물론 그 바탕에 놓인 신학적 지식이 없이도 그 개념들을 가져다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개념들의 다양한 성격과 본래의 지향점을 정확히 헤아리려면 그 뿌리들을 한 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각에는 신칼뱅주의가 종교개혁신학과 칼뱅의 신학을 단지 재해석하고 발전시켰을뿐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신칼뱅주의는 개혁파 신학 체계의 한 축을 세울만큼 독특하고 웅장한 신학적 공헌을 했습니다. 우리에게 비교적 익숙한 영역 주권, 일반 은총 등의 개념이 그러하고, 보편성과 현대성, 계시와 이성, 성경과 유기체, 창조와 재창조 등 신칼뱅주의 전통은 깊으면서도 풍성한 신학적 논의를 개진함으로써, 20세기 초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모든 세상이 대 격변과 큰 전환의 시기를 지나면서도 우리에게 기독교의 보편성이 깨지지 않고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 책은 이제껏 기독교 세계관 등 신칼뱅주의 문화적 사회적 비전에 비해 비교적 깊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신칼뱅주의 신학 사상을 잘 정리해서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신칼뱅주의 신학의 특징을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밝힙니다.
1. 정통적인 동시에 현대적이고,
2. 의식적으로 전체를 포괄하며,
3. 유기적인 동시에 기계적인 것에 반대하는 태도를 취했다.
이 세 가지 특징은 전환기 개혁주의자들의 시대적 과제이자 숙명이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또한 현재의 시각에서 본다면 저렇게 거창하게 명제화하기에는 다소 부족하거나 그렇지 않은데 하는 부분도 일면 있겠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현재(21세기)를 종교개혁 시대(16세기), 정통주의 시대(17세기)와 하나의 맥락으로 연결해주는 "유일한" 신학적ㆍ역사적 맥락이라는 것입니다. 이 유익하고 복된 신학 흐름에 독자 여러분이 기쁨으로 동참하기를 기대합니다.
코리 브록 (Cory C. Brock)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성 콜롬바 자유 교회(St. Columba's Free Church of Scotland in Edinburgh)와 에든버러 신학대학원(Edinburgh Theological Seminary)과 미시시피 잭슨의 벨헤이븐 대학교(Belhaven University in Jackson. Mississippi.)에서 신학 겸임 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정통적인 동시에 현대적인 관점: 헤르만 바빙크의 슐라이어마허 사용』(Orthodoxy yet Modern: Herman Bavinck's Use of Friedrich Schleiermacher)이 있습니다.
나다니엘 수탄토 (Nathaniel G. Sutanto)
워싱턴 D.C.의 리폼드 신학대학원(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in Washington. D.C.)의 조직신학 교수이자 『하나님과 지식: 헤르만 바빙크의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인식론』(God and Knowledge: Herman Bavinck's Theological Epistemology of God)의 저자입니다. 신칼뱅주의 연구소(the Neo-Calvinism Research Institude)의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목차
추천사ㆍ06
서문ㆍ20
감사의 글ㆍ30
약어ㆍ32
01. 서론ㆍ35
02. 칼뱅주의와 신칼뱅주의ㆍ59
03. 보편성과 현대ㆍ107
04. 계시와 이성ㆍ151
05. 성경과 유기체ㆍ197
06. 창조와 재창조ㆍ257
07. 하나님의 형상과 타락ㆍ353
08. 일반 은총과 복음ㆍ405
09. 교회와 세상ㆍ477
10. 열여섯 가지 논제ㆍ551
참고문헌ㆍ561
색인
인명 색인ㆍ581
주제 색인ㆍ584
성구 색인ㆍ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