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미국선거전 읽어야 할 책, 우리 정치를 위해서도 읽어야 할 책
책 소개
믿음이 무너진 자리, 권력이 들어서다: 복음주의와 극우파의 위험한 동맹
종교와 극우 정치의 결합이 어떻게 현대 미국 정치의 중심부를 장악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책. 저자 팀 앨버타는 복음주의자들이 극우파와 결합해 정치적 권력을 움켜쥐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파장을 날카롭게 파헤친다. 저자는 트럼프와 복음주의자들의 동맹이 단순한 정치적 제휴가 아니라 신앙적 정당화라는 강력한 프레임 속에서 진행되었음을 설명한다. 트럼프의 인종차별적 발언이나 성 추문에도 불구하고, 백인 복음주의자들이 그를 지지하게 만든 결정적 이유는 그를 ‘하나님의 불완전한 도구’로 포지셔닝했기 때문이다. 종교적 서사가 트럼프의 정치적 행동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쓰인 것이다. 복음주의와 극우파의 결합은 미국 내 인종 갈등을 격화시키고, 극단적인 정치적 의제를 종교적 신념으로 포장해 내놓았다. 트럼프의 반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는 종교와 정치의 위험한 결합이 어떻게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저자는 지난 4년 동안 복음주의의 핵심 기관인 리버티대학교를 비롯해 미국 곳곳에서 열린 교회 모임, 정치 유세, 연례 총회, 각종 콘퍼런스 등 미국 전역을 누비며 취재하는 한편, 그 안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거래와 종교적 타협의 실체를 직접 목격했다. 이를 바탕으로 단순한 분석을 넘어 현장에서 얻은 생생한 기록을 통해, 복음주의와 극우 정치의 결합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되었는지, 그로 인한 위험은 무엇인지를 보여 주고자 애쓴다. 나아가 복음주의 지도자들과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인사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진정한 의도와 정치적 전략을 면밀히 파악해 독자들에게 미국 정치의 민낯을 고스란히 전달한다. 이는 미국 정치와 사회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뿐만 아니라 정치와 종교의 관계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필수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복음주의와 극우 정치의 결합이 단순한 미국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한 현상으로 읽히며, 정치적 신념과 종교적 가치는 어떻게 충돌하고 타협하는지를 보여 준다. 또한 미국 정치를 이해하는 새로운 창을 제공하고, 비슷한 갈등과 모순이 잠재되어 있는 한국 사회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글) 팀 앨버타
(Tim Alberta)
현재 〈애틀랜틱〉 상근 기자로, 〈폴리티코〉 수석 특파원을 지냈으며, 〈내셔널 리뷰〉, 〈내셔널 저널〉, 〈월스트리트 저널〉, 〈더 핫라인〉에서 기자로 일한 바 있다. 2019년 민주당 예비 선거 마지막 토론회에서 공동 진행을 맡았으며, 미국과 전 세계 TV 프로그램에서 정치 해설자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수백 건의 독점 인터뷰를 바탕으로 현대 공화당의 변천사를 상세히 기록해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 베스트셀러에 오른 《미국의 대학살American Carnage》의 저자다.
복음주의 목사의 아들이자 신실한 신자이며 저널리스트로서 전작에서 인정받은 뛰어난 분석 및 보도 능력을 이 책 《나라, 권력, 영광》에서도 유감없이 발휘하여 전작으로 쌓은 명성을 더욱 공고히 다졌다. “철저하고 책임감 있는 기자일 뿐만 아니라 극적인 장면을 생생한 색채로 표현할 줄 아는 생동감 넘치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대체 뭐가 문제일까
1부 나라
1장 신의 선택을 받은 나라?: 미국의 영광과 진실
2장 트럼프와 종교적 우파: 불신의 동맹
3장 제리 팔웰과 도덕적 다수: 종교의 정치적 야망
4장 위선의 끝: 은폐된 진실, 도덕적 붕괴
5장 포위된 신념: 정치적 기회주의의 그림자
6장 박해 콤플렉스: 불안과 두려움의 실체
7장 기만의 먹이사슬: 거짓 정보의 확산과 팽창
2부 권력
8장 공포 전술: 유권자 동원을 위한 선동
9장 혐오의 길: 거짓이 낳은 킹메이커
10장 세뇌된 신앙: 솔깃한 권력의 유혹
11장 분노 사업: 광기의 교회가 파는 것
12장 시민종교로 변신한 트럼피즘: 민주주의의 파괴자
13장 극단의 주류화: 사라진 문지기
14장 트럼프 경제: 집착과 기생의 모델
3부 영광
15장 정체성 혼동: 실패한 실험의 재연
16장 원칙보다 권력: 승리가 곧 미덕?
17장 침묵은 죄인가: 선동가들의 위험한 게임
18장 기독교와 사회: 격랑 속 새로운 연대
19장 회복은 가능한가: 무너진 신뢰, 실낱같은 희망
20장 복음주의 산업 복합체: 양을 착취하는 늑대
21장 리버티의 새벽: 갈림길에 선 두 번째 기회
에필로그: 교회의 목적은 과연 무엇일까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