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칼럼
- 신성욱계명대 영문학, 총신신대원,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구약 Th.M 수학), Calvin Theological Seminary(신약 Th.M), University of Pretoria(설교학 Ph.D), 「이동원 목사의 설교 세계」(두란노, 2014), 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설교학 교수
설교자의 일생
설교자의 인생은 참 고달프고 힘들다. 설교자인 내가 가장 부러워하는 직업이 하나 있다. 가수다. 왜 내가 가수를 부러워할까? 가수는 신곡이 하나 나오면 적어도 그 곡으로 적어도 4~5년 노래를 부른다. 대중들 앞에 설 때마다 신곡이 아닌 자신의 18번 송만 불러도 팬들은 환호하고 좋아한다. 설교자는 한 주만 같은 설교를 해도 쫓겨나고 말 것이다. 평생 3~40년 설교를 하는데, 매번 새로운 설교를 준비해야 하는 게 설교자의 고달픈 일생이다.
내가 표현하는 설교자는 다음과 같다. 일주일 내내 임신한 배를 움켜잡고 애를 쓰다가 주일날 갖은 수고를 다하여 아이를 해산한다. 해산 후 ‘휴!’하고 한숨을 내쉬려는 순간 다시 임신한 자신의 모습을 다음날인 월요일에 발견한다. 그렇다. 이게 설교자의 삶이다. 설교자라면 누구나가 다 날마다 매일 매순간 오는 주일 전해야 할 설교문 작성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릭 이젤의 『설교, 변하는 청중을 사로잡으라』라는 책에 이런 말이 나온다.
“설교란 설교문을 준비해서 그것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설교자를 준비하여 그를 전하는 것이다.” 모든 설교자들이 명심해야 할 소중한 문장이다.
자신의 청중들을 위한 식단을 준비하는 설교자들에게 맹점이 하나 있다. 그들은 어떻게 하면 자기 성도들이 귀 기울여 듣고 회개하고 변화하고 열매 맺어야 할 말씀을 잘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늘 신경을 쓴다.
문제는 남들이 들어야 할 말씀 준비에는 여념이 없으면서도 정작 자신은 그 말씀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말씀을 먼저 자신에게 적용하여 변화를 경험하지 않는 설교자의 설교에 성도들은 관심을 갖지 않는다.
청교도 목사 존 오웬(John Owen)은 이렇게 말한다.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이 먼저 듣지 않는 한 다른 사람에게 제대로 된 설교를 할 수 없다.”
이해인 수녀가 쓴 한 편의 시가 떠오른다.
<말을 위한 기도>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
수없이 뿌려 놓은 말의 씨들이
어디서 어떻게 열매를 맺었을까
조용히 헤아려 볼 때가 있습니다.
무심코 뿌린 말의 씨라도
그 어디선가 뿌리를 내렸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왠지 두렵습니다.
더러는 허공으로 사라지고
더러는 다른 이의 가슴속으로
좋은 열매를 또는 언짢은 열매를
맺기도 했을 언어의 나무.”
이 시의 내용처럼 사람들은 태어나서 저마다 말이란 씨들을 많이 뿌리고 살아간다. 그중 설교자들은 누구보다 뿌려놓은 말의 씨들이 많은 사람들이다. 그 허다한 말의 씨들 중에서 허공으로 사라진 것도 있고 다른 이의 가슴속에서 좋은 열매를 맺은 열매도 있겠지만, 내 속에서 선한 열매를 맺은 말의 씨들은 얼마나 되는지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강해설교’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던 해돈 로빈슨 교수의 정의가 있다.
“강해설교란 성경본문을 그 자체의 정황(context) 속에서 문법적이고 역사적이며 신학적으로 연구하여 찾아낸 성경적 개념(biblical concept)을 오늘의 상황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 성경적 개념을 성령 하나님께서는 먼저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 속에 적용시키시며 그 다음에 설교자를 통하여 그의 청중들에게 적용시키신다. 이 정의 속에도 본문 저자의 핵심 메시지를 ‘먼저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 속에 적용시켜야 함’에 대한 언급이 나옴을 보라.
그렇다. 설교자가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위치에 있다 하나 그 역시도 자신이 전하는 말씀에 따라 살아야 하는 연약한 죄인임을 놓쳐선 안 된다. 약 3:1절은 다음과 같이 말씀한다.
“내 형제들아 너희는 선생 된 우리가 더 큰 심판을 받을 줄 알고 선생이 많이 되지 말라.”
‘아는 만큼, 전하는 만큼’ 그 내용들에 의해 심판을 받아야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모든 설교자들은 꼭 염두에 두고 살아야 한다.
설교자의 사명이 얼마나 중대하고 무거운 것인가를 제대로 안다면 목사의 길로 가는 이는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다. 이미 목사로 부름 받아 그 길로 가고 있는 이들은 먼저 자신이 전하는 말씀의 내용대로 사는 것이 가장 필요함을 늘 기억하고 살자.
이런 목사들로부터 말씀을 전해 받는 성도들은 늘 말씀을 준비해서 전해주는 수고를 감내하는 설교자들을 진심으로 존경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잘 다스리는 장로들은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그리할 것이니라”(딤전 5:17).
오늘도 전하는 이나 듣는 이 모두가 하나님의 말씀대로 열매 맺는 삶을 충실히 잘 살았으면 좋겠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108 | [신성욱 칼럼] 한 말씀만 하소서! | 신성욱 | 2025.01.21 09:22 |
107 | [신성욱 칼럼] '은혜'와 '감동'의 차이 | 신성욱 | 2025.01.12 18:26 |
106 | [신성욱 칼럼] 가장 큰 염려를 가장 깊은 기도로 바꾸라! | 신성욱 | 2025.01.09 17:46 |
105 | [신성욱 칼럼] '마지막 경고와 기회'가 될까 심히 두렵다 | 크리스찬북뉴스 | 2025.01.03 12:13 |
104 | [신성욱 칼럼] 더 이상 비난의 화살은 멈춰주길... | 크리스찬북뉴스 | 2024.07.31 11:47 |
103 | [신성욱 칼럼] '본보기'와 반면교사'(反面敎師) | 크리스찬북뉴스 | 2024.07.31 11:46 |
102 | [신성욱 칼럼] “가장 적은 장난감을 가지고 죽은 자가 승리자다!” | 신성욱 | 2023.05.12 21:37 |
101 | [신성욱 칼럼] 죽음보다 강한 어머니의 사랑, 그보다 더한 하나님의 사랑 | 신성욱 | 2023.02.24 05:55 |
100 | [신성욱 칼럼] 거미가 다급하게 거미줄은 친 이유는? | 신성욱 | 2023.02.10 22:45 |
99 | [신성욱 칼럼] 나폴레옹의 모자를 26억에 낙찰받은 회장이 준 교훈과 도전 | 신성욱 | 2023.02.09 21:33 |
98 | [신성욱 칼럼] 참된 복음을 받은 자인가? | 신성욱 | 2023.01.31 17:35 |
97 | [신성욱 칼럼] ‘Being+Doing’ 패턴을 기억하고 살자! | 신성욱 | 2023.01.29 17:56 |
96 | [신성욱 칼럼] My favorite poem | 신성욱 | 2023.01.10 23:58 |
95 | [신성욱 칼럼] 내로남로 | 신성욱 | 2023.01.09 23:54 |
94 | [신성욱 칼럼] 무지의 자각 | 신성욱 | 2023.01.08 22:16 |
93 | [신성욱 칼럼] 느슨해진 나사를 조이라! | 신성욱 | 2023.01.07 23:54 |
92 | [신성욱 칼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 신성욱 | 2023.01.04 23:51 |
91 | [신성욱 칼럼] ‘Being+Doing’ 패턴을 기억하고 살자! | 신성욱 | 2023.01.03 21:07 |
90 | [신성욱 칼럼] 당신의 삶으로 복음을 꽃 피우라! | 신성욱 | 2023.01.01 22:15 |
89 | [신성욱 칼럼] ‘입장 바꿔서 생각해보기’ 훈련 | 신성욱 | 2022.07.30 1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