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뉴스
더불어 충만, 세상을 위한 그리스도의 몸
헨리 나우웬의 공동체/헨리 나우웬 지음/윤종석 옮김/두란노서원
그립다! 예수님이 생각나는 공동체!
‘실천하는 영성가’ 헨리 나우웬 영성의 백미
지금 우리가 몸담은 다양한 공동체는 서로 돌보며 즐거워하는 곳인가? 우리의 상처와 약점을 드러내는 자리인가? 죄와 깨어진 모습을 고백하는 안전한 장인가? 용서받고 용서를 베푸는 사랑의 집인가? 그 어느 때보다 분열로 몸살을 앓는 이 시대, ‘공동체’를 다룬 헨리 나우웬의 저작과 강연을 짚어 보며, 그의 머리와 가슴을 온통 지배하던 ‘공동체 영성’을 생각한다. 비교적 덜 알려진 글과 강연도 일부 실었고, 이번에 처음 출간되어 세상에 선보이는 원고도 다섯 편이다.
외로운 시대를 충만하게 사는 예수의 방식
더욱, 공동체!
점점 더 개인화되는 시대의 흐름에 나를 맡기고 유행 따라 사는 것이 성경적 삶인가? 포스트 코로나를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이 책은 우리를 하나님의 크고 신비로운 선물, 더불어 사는 삶으로 초대한다. 깨어진 인생들이 모여 열매를 맺는 놀라운 현장을 소개하고, 서로의 연약함을 부둥켜안으며 찢기고 분열된 ‘그리스도의 몸’을 다시 세우라고 힘주어 권면한다.
이 책의 발행인과 엮은이는 책의 서두에서 “헨리 나우웬은 공동체를 추구하는 일에 일관되게 헌신했으며, 그 내용도 점점 더 구체적인 현실로 옮겨 갔다”, “그에게 공동체란 결코 주로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나 선택 사항이 아니었다”고 증언한다. 헨리 나우웬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근본적 변화”를 공동체 안에서 경험했다. 그가 쌓아 온 경력이나 쓴 책들을 떠나 순전히 그 사람 자체로만 받아들여지고 사랑받은 그곳에서, 그는 비로소 치유받았다.
우리, 다시 더불어 살 수 있을까?
이 책은 온라인 상의 보이지 않는 관계에만 익숙해져 사람과 서로 부대끼는 법을 알 길 없는 세대에 참다운 성경적 관계법을 소개한다. 가정이든 직장이든 교회든 누군가와 함께하는 생활이 불편하고 어색하고 힘든 이들, 속한 공동체의 회복을 기다리며 기도하는 이들에게도 출구가 되어 줄 것이다. 팬데믹의 영향을 온몸으로 받으며 많은 사람이 ‘더불어 사는 삶’의 근본적 부재를 경험하는 이때, 인간에게 꼭 필요한 공동체에 관한 나우웬의 말과 통찰은 변하지 않을 깊은 지혜일 뿐 아니라, 이 시대를 향한 긴급한 부르심이다.
헨리 나우웬(Henri J. M. Nouwen, 1932-1996)
1932년 네덜란드 네이께르끄에서 태어났으며, 1957년에 예수회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심리학을 공부한 그는 인간의 고난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어 1964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메닝거연구소에서 공부했다. 30대에 노트르담대학교 심리학부에서 객원교수를 시작했고, 신학을 공부한 후에는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존경받는 교수이자 학자로서의 헨리 나우웬의 삶의 행보는 1981년을 기점으로 큰 변화를 맞게 된다. 그는 ‘하나님 사랑’에 빚진 자로서 거룩한 부담감을 안고 페루의 빈민가로 떠나 한동안 그곳 사람들과 함께 지냈다. 이후 다시 대학 강단으로 돌아와 3년간 하버드대학교 신학부에서 강의를 맡았으나 그는 더 이상 이 같은 삶에서 영혼의 안식을 얻지 못했다. 1986년, 마침내 그는 새로운 부르심에 순종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1996년 9월에 심장마비로 소천하기 전까지 10년 동안 캐나다의 발달장애인 공동체인 라르쉬 데이브레이크에 살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몸소 보였다.
깊은 말씀 묵상과 기도 생활에서 나온 그의 압축된 문장들은 수많은 이들을 깊은 영성의 세계로 초대했다. 《예수의 길》, 《마음의 길》, 《삶의 영성》, 《귀향의 영성》, 《돌봄의 영성》, 《두려움에서 사랑으로》, 《영적 발돋움》, 《영성 수업》, 《상처 입은 치유자》, 《예수님을 생각나게 하는 사람》, 《춤추시는 하나님》, 《영혼의 양식》, 《예수님의 이름으로》(이상 두란노) 등의 수작이 지금도 전 세계 독자들을 찾아가고 있다.
목차
발행인의 글. 헨리 나우웬의 온 삶으로 듣는 공동체 수업
엮은이의 글. 예수를 따라 다시, 반드시, 공동체로
‘그리스도인의 삶’과 공동체
1. 아무리 내달려도 삶에 열매가 없다면
‘영성 계발’과 공동체
2. 마음, 혼자서는 가꿀 수 없다
‘탈진’과 공동체
3. 넘쳐 나는 임무들, ‘고독’은 사치인가
‘복음’과 공동체
4. 가난함을 서로 나누는 자리에 기쁨과 복도 있다
‘평화 추구’와 공동체
5. ‘그리스도의 살아 있는 몸’만이 세상을 화평하게
‘깨어진 세상, 깨어진 자아’와 공동체
6. 서로에게 부서진 흙이 될 때 거기서 생명이 움튼다
‘소명’과 공동체
7. 작고 미미해도, 십자가의 길로 담대히 움직일 때
‘하나님과의 교제’와 공동체
8. 많은 사람과 부대끼는데도 외로움이 덮칠 때가 있다
‘긍휼’과 공동체
9. 너와 내가 ‘같은 존재’임을 기뻐하는 것이 힘이다
‘변화’와 공동체
10. 매일의 여정, ‘굳은 마음’에서 ‘부드러운 마음’으로
감사의 글
출전
주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노인 사역에 관한 지침서 | 크리스찬북뉴스 | 2025.01.15 10:43 | |
김양재 목사의 큐티강해 사도행전 1 | 크리스찬북뉴스 | 2025.01.03 11:40 | |
346 | 생활의 시, 교훈의 시, 말씀의 시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5.16 14:20 |
345 | 하나님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5.12 10:13 |
344 | 지휘자 박치용의 내 맘에 한 노래 있어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5.12 10:05 |
343 | 위기를 기쁨으로 바꾸는 가장 지혜로운 선택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5.12 09:49 |
342 | 그리스도인의 고민과 희망을 말하다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4.30 11:31 |
341 | 평신도 눈높이에 딱 맞춘 정곡을 꿰뚫는 쉽고 바른 해설서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4.24 16:42 |
340 | 장로교회의 믿음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4.18 10:27 |
339 | 김양재 목사의 큐티강해 창세기 6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4.18 09:55 |
338 | 위대한 책들을 통해 좋은 삶을 발견하기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4.11 09:42 |
>> | 더불어 충만, 세상을 위한 그리스도의 몸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3.24 11:20 |
336 | ‘Miscommunication’의 위험성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3.23 12:36 |
335 | 인생의 주인을 바꾸는 것이 인생 혁명이자 최고의 성공이다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3.12 11:46 |
334 | 사랑합니다 한마디면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3.07 11:37 |
333 | 세상을 구원하는 예수의 사랑법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2.25 15:42 |
332 | 응답을 넘어 은혜와 기쁨에 이르는 기도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2.23 12:38 |
331 | 우리에게 이런 대통령이 있다면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2.16 10:03 |
330 | 모든 순간, 모든 곳에 하나님이 함께 계시다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2.10 14:54 |
329 | 드라마틱한 장면 중심의 스토리텔링식 성경 읽기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2.02 12:41 |
328 | 삶의 지혜와 신앙의 보화가 담긴 책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1.20 12:51 |
327 | 폐허를 덮는 환상 세트(환상, 우상, 심판, 회복) | 크리스찬북뉴스 | 2022.01.07 12:26 |